Boo♥Boo
구텐탁!! 안녕하세요!!
부부커플 입니다...^^
오늘은 14K, 18K 금 시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그전에 금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까요??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금의 종류는
24K, 18K 14K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다른 나라에서는 그밖에 여러 가지 금 종류가 있습니다.
22K, 20K, 12K, 10K, 9K 8K 등의. 종류의 금도 있습니다.
금을 보시면
24K, 18K, 14K로 표시가 돼있는 제품이 있지만
간혹 999.9, 750, 585 이런 식으로 숫자로 표시가 돼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숫자의 의미는 금의 함량입니다.
999.9= 24K 순금입니다.
순금이 100 아닌 999.9로 표기하는 이유는
0.1%의 불순물이 포함돼 있을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750 = 18K입니다. 75.0% 순금을 포함 금 함량을 할하는겁니다.
585= 14K입니다. 58.5% 순금을 포함 금 함량을 말하는 겁니다.
그러면 14K, 18K 금에 금 말고 어떤 성분이 들어있을까요???
24K를 제외한 다른 금에는 합금이 들어가는데요
알로이라고 합니다.
알로이의 주성분은 은, 동, 아연이 들어가 있는데요
순금을 굳이 18K, 14K로 만드는 이유는
금을 세공할 때 24K금은 무르기 때문에 잘 망가진다고 하네요.
그래서 다이아몬드, 큐빅 등 세공을 할때 알 물림 작업이 하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로 대부분 사람들이 착용하는
주얼리 종류는 18K, 14K 제품이 많은 겁니다.
그밖에도 핑크 골드, 화이트골드에도 알로이를 넣어 색을 만들기도 합니다.
자~~~!! 그러면
본격적으로 18K, 14K 금 시세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금 시세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래도 한국금거래소 사이트에서 확인하는걸 추천드립니다.
한국금거래소
대한민국 금거래의 중심! 한국금거래소
koreagoldx.co.kr
한국금거래소 사이트에 들어가면
이런 식으로 한 번에 금 시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순금, 18K, 14K, 백금, 은 시세를
내가 살 때 내가 팔 때 금액을 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
18K 금 시세는 내가 팔 때 1돈 기준 191,200원
14K 금시세는 내가 팔때 1돈 기준 147,400원입니다.
위 표 시세 기준은 1돈 기준입니다.
(1돈= 3.75g입니다.)
여기서~~!!!
18K, 14K 내가 살 때 시세가
제품 시세 적용이라고 적혀있는 이유는
18K, 14K는 세공을 해서 주얼리로 팔기 때문에 제품 시세 적용이라고
적혀있는 겁니다.
그 외에도 금 시세 조회로 들어가시면
금 시세를 날짜별로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들어 금 시세가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데요.
그래도;; 금 시세가 높긴 합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금 시세가 폭등 이후 조금씩 안전 시세로 내려가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엄청 비싸다는 게.. 조금이라도 빨리
코로나 19가 종식되고 나라의 경제도 빨리 회복됐으면 좋겠네요..
모두 화~이~팅! 합시다.
지금까지 부부커플 이였습니다. 츄스~~!
'부부커플 이야기 창고 > 부부커플 환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로환율 전망 급락? (0) | 2020.09.24 |
---|---|
달러 환율 전망 더 내려가는지 (0) | 2020.09.23 |
달러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0) | 2020.08.08 |
브라질 헤알 환율, 브라질 코로나 (0) | 2020.07.02 |
일본 엔화 환율 입국 금지 해제 알아보기 (0) | 2020.06.30 |
댓글